코파 항공 콜롬비아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코파 항공 콜롬비아는 1993년 콜롬비아에서 설립된 민간 항공사로, 2005년 파나마의 코파 항공에 인수되었다. 초창기에는 아에로 레푸블리카라는 이름으로 운항했으며, 콜롬비아 국내선과 국제선을 취항했다. 2010년 코파 항공 콜롬비아로 사명을 변경하고 코파 항공의 상용 고객 프로그램인 ConnectMiles를 운영한다. 2016년에는 저가 항공사인 윙고를 설립했다. 2020년부터는 자체 항공기를 운용하지 않고 코파 항공의 항공기를 활용하여 운항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콜롬비아의 항공사 - 아비앙카 항공
아비앙카 항공은 1919년 설립된 SCADTA 항공사를 모태로 하는 세계에서 가장 오래된 항공사 중 하나이자, 콜롬비아를 중심으로 중남미, 북미, 유럽 등 광범위한 노선을 운항하며, 스타얼라이언스 회원사로서 글로벌 네트워크를 구축하고 LifeMiles 마일리지 적립 프로그램을 운영하지만, 코로나19 팬데믹으로 인한 재정난으로 파산보호를 신청하는 등 여러 차례의 어려움을 겪었다. - 콜롬비아의 항공사 - LATAM 카고 콜롬비아
LATAM 카고 콜롬비아는 보고타 엘도라도 국제공항을 허브로 국제 노선을 운항하는 콜롬비아의 항공 화물 운송 회사로, 보잉 767 기종 11대의 항공기를 보유하고 있으며 과거 보잉 777F 기종을 운용한 바 있다. - 1992년 설립된 항공사 - 아제르바이잔 항공
아제르바이잔 항공은 1992년 설립된 아제르바이잔의 국영 항공사로, 서방 항공기 도입을 통해 기종을 현대화하고 국제선 운항을 확대해왔으며, 외부 요인과 재정적 어려움, 코로나19 팬데믹 등의 어려움 속에서도 국제 경쟁력 강화를 위해 노력하며 다수의 항공사와 코드쉐어 협정을 맺고 있다. - 1992년 설립된 항공사 - S7 항공
S7 항공은 1992년 시빌 항공으로 설립되어 모스크바에 본사를 둔 러시아의 주요 항공사로, IATA 코드 "S7"을 상표명으로 사용하며 원월드 항공 동맹에 가입, 러시아 국내선과 국제선을 운항하고 에어버스와 보잉 항공기를 주력으로 운영하고 있다. - IATA 회원 - 스칸디나비아 항공
스칸디나비아 항공(SAS)은 1946년 3개국 국영 항공사 컨소시엄으로 설립되어 세계 최초 북극 항로를 개설하고 스타얼라이언스를 창립했으나, 재정적 어려움을 겪고 에어프랑스-KLM 컨소시엄에 인수되어 스카이팀에 가입했다. - IATA 회원 - 일본항공
일본항공은 1951년 설립된 일본의 대표적인 국적 항공사로, 경영 위기와 회사 정리법 신청 후 민영화되었으며, 현재는 원월드 회원사로서 최신 기종을 도입하여 국제선 및 국내선 네트워크를 운영하고 고객 편의성 증대에 힘쓰고 있다.
코파 항공 콜롬비아 - [회사]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IATA | P5 |
ICAO | RPB |
호출 부호 | AEROREPUBLICA (아에로레푸블리카) |
모기업 | 코파 홀딩스 |
설립일 | 1992년 11월 23일 (아에로 레푸블리카) |
운항 개시일 | 2010년 10월 6일 (코파 항공 콜롬비아) |
본사 | 보고타, 콜롬비아 |
주요 인물 | Eduardo Lombana (에두아르도 롬바나, CEO) |
허브 공항 | 보고타 |
집중 도시 | 파나마시티-토쿠멘 산안드레스 섬 메데인-JMC |
상용 고객 우대 제도 | ConnectMiles (커넥트마일즈) |
항공 동맹 | 스타 얼라이언스 (제휴) |
웹사이트 | 코파 항공 콜롬비아 |
운항 정보 | |
보유 항공기 수 | 18 |
취항지 수 | 6 |
2. 역사
1992년 세사르 가비리아 콜롬비아 대통령의 경제 자유화 정책에 따라, 알폰소 벨란디아와 아모스 지노르의 주도로 콜롬비아 최초의 민간 항공사 아에로 레푸블리카 설립 협상이 시작되었다. 1993년 6월 19일, 콜롬비아 국기 색상인 노란색, 파란색, 빨간색으로 도색된 보잉 727-100 항공기로 운항을 시작했으며, 초기에는 보고타에서 산타 마르타, 카르타헤나, 산 안드레스 등 콜롬비아 해안 도시로 운항했다.[1]
운항 초기 몇 달 동안 아에로 레푸블리카는 칼리, 메데인, 바랑키야, 몬테리아, 레티시아 등 새로운 국내 노선을 추가했고, 아루바와 쿠바로 국제선 운항도 시작했다. 3대의 727-100 항공기는 컨티넨탈 항공과 알이탈리아에서 구입한 중고 맥도넬 더글러스 DC-9-30으로 교체되었다.[1]
초기 몇 년 동안 아에로레푸블리카는 노후 기체의 잦은 기계적 문제, 낮은 정시성, 부실한 관리로 인해 평판이 좋지 않았다. 1997년 5월에는 안전 문제로 콜롬비아 아에로시빌(Aerocivil)에 의해 2주 동안 운항이 중단되기도 했다. 이후 항공사 이사회는 사업 프로세스 재구조화, 새로운 기업 이미지 론칭, 맥도넬 더글라스 MD-80 기단 인수, 수익성 없는 노선 폐지, "변화를 경험하세요"라는 슬로건을 광고에 추가하여 상황을 반전시켰다.[1]
2005년 코파 항공은 콜롬비아 시장 진출을 위해 아에로레푸블리카의 지분 90%를 인수했다. 이후 아에로레푸블리카는 코파 항공 및 콘티넨탈 항공(현재의 유나이티드 항공)과 유사한 기업 이미지를 채택하고, Embraer 190LR 및 보잉 737-700 등 더 효율적인 항공기를 도입하면서 MD-80 항공기를 퇴역시켰다.
2010년 코파 홀딩스(Copa Holdings)는 항공사 이름을 아에로레푸블리카에서 코파 항공 콜롬비아로 변경하여 브랜드를 통합했다.[2]
2016년 10월 20일, 코파 홀딩스는 코파 항공 콜롬비아 산하의 새로운 저가 항공사인 윙고를 설립한다고 발표했다.[3]
2020년 3월부터 코파 항공 콜롬비아는 자체 항공기를 보유하지 않고, 코파 항공과의 항공기 교환 협정을 통해 운항하고 있다.[4]
2. 1. 설립 초기 (1993년 ~ 2005년)
1992년, 콜롬비아 대통령 세사르 가비리아의 경제 자유화 정책 하에, 알폰소 벨란디아와 아모스 지노르의 주도로 수년간 콜롬비아에서 최초로 설립된 민간 항공사인 아에로 레푸블리카를 설립하기 위한 협상이 시작되었다. 1993년 6월 19일, 콜롬비아 국기의 노란색, 파란색, 빨간색으로 도색된 보잉 727-100 항공기를 사용하여 운항을 시작했으며, 초기에는 보고타에서 산타 마르타, 카르타헤나, 산 안드레스와 같은 콜롬비아 해안 도시로 운항했다.[1]운항 초기 몇 달 동안 아에로 레푸블리카는 칼리, 메데인, 바랑키야, 몬테리아, 레티시아와 같은 새로운 국내 노선을 추가했다. 또한 아루바와 쿠바로 국제선 운항을 시작했다. 한편, 3대의 727-100 항공기는 컨티넨탈 항공과 알이탈리아에서 구입한 중고 맥도넬 더글러스 DC-9-30으로 교체되었다.[1]
운영 초기 몇 년 동안, 아에로레푸블리카(AeroRepública)의 명성은 노후화된 기체의 잦은 기계적 문제, 낮은 정시성, 그리고 부실한 관리로 인해 훼손되었다. 게다가, 1997년 5월에는 안전상의 이유로 콜롬비아의 아에로시빌(Aerocivil)에 의해 2주 동안 운항이 중단되었다. 항공사 이사회는 사업 프로세스를 재구조화하고, 새로운 기업 이미지를 론칭하고, 맥도넬 더글라스 MD-80 기단을 인수하고, 수익성이 없는 노선을 폐지하고, 광고에 "변화를 경험하세요"라는 슬로건을 추가함으로써 상황을 반전시켰다.[1]
2. 2. 코파 항공 인수 및 성장 (2005년 ~ 현재)
2005년, 파나마 국적 항공사인 코파 항공은 콜롬비아 시장 진출을 위해 파산한 아비앙카 입찰을 포함, 여러 회사와 협상한 끝에 아에로레푸블리카(AeroRepública)의 지분 90%를 인수했다. 이 인수 과정에서 아에로레푸블리카는 항공사 이사회 전 회장인 알폰소 아빌라 벨란디아가 사임하고 로베르토 훙기토가 그 뒤를 잇는 등 큰 변화를 겪었다. 아에로레푸블리카는 코파 항공 및 콘티넨탈 항공(현재의 유나이티드 항공)과 유사한 기업 이미지를 채택했으며, 더 효율적인 Embraer 190LR 및 보잉 737-700 항공기를 도입하기 위해 MD-80 항공기를 퇴역시켰다.2007년 초, 아에로레푸블리카의 Embraer 190LR기가 메데인에 있는 올라야 에레라 공항에서 시범 비행을 했지만, 현행 규정상 해당 공항에서 이 기종의 운항은 불가능했다. 또한, 국내 노선이 통합되었고 키토, 카라카스, 파나마 시티, 멕시코 등으로 국제선 서비스가 시작되었으며, 마이애미, 상파울루 등으로의 운항도 계획되었다.[1]
2010년, 코파 홀딩스(Copa Holdings)는 항공사 이름을 아에로레푸블리카에서 코파 항공 콜롬비아로 변경하여 브랜드를 통합했다.[2]
2016년 10월 20일, 코파 홀딩스는 코파 항공 콜롬비아 산하의 새로운 저가 항공사인 윙고를 설립한다고 발표했다. 윙고는 국내 및 국제 노선을 운항하며, 수년간 손실을 기록했고 2016년 상반기에 2970만달러의 손실을 낸 코파 항공 콜롬비아 브랜드를 대체할 예정이었다.[3] 이 새로운 항공사는 2016년 12월 1일에 142석의 전 좌석 이코노미 클래스로 구성된 4대의 보잉 737-700기를 투입하여 운항을 시작했다.
2020년 3월부터 코파 항공 콜롬비아는 자체 항공기를 더 이상 보유하지 않는다. 현재 항공편은 항공기 교환 협정을 통해 코파 항공의 항공기로 운항된다.[4]
3. 보유 기종 (2020년 이전)
Copa Airlines Colombia영어는 2020년 3월 이전에는 자체 항공기를 운용했지만, 이후에는 모회사인 코파 항공에서 항공기를 조달하여 콜롬비아 내에서 순환 배치하는 방식으로 운영했다.[11]
2012년 7월 기준으로, 과거 보유 기종은 다음과 같다.
기종 | 대수 | 주문 | 승객 (J/Y/합계) | 비고 |
---|---|---|---|---|
보잉 737-700 | 3 | 0 | 12/112/124 | |
엠브라에르 E-190 | 15 | 0 | 10/84/94 | |
15 | 0 | 0/106/106 | ||
합계 | 18 | 0 | colspan="2" | |
이후, 2020년까지 다음과 같은 기종들을 추가로 운용하였다.
항공기 | 총 수 | 도입 | 퇴역 | 비고 |
---|---|---|---|---|
보잉 727-100 | 3 | 1993 | 1998 | |
보잉 737-700 | 4 | 2010 | 2020 | |
엠브라에르 190 | 5 | 2008 | 2019 | |
엠브라에르 190LR | 12 | 2006 | 2019 | |
맥도넬 더글러스 DC-9-30 | 10 | 1994 | 2006 | |
맥도넬 더글러스 MD-81 | 5 | 2001 | 2007 | |
맥도넬 더글러스 MD-82 | 3 | 2005 | 2009 | |
맥도넬 더글러스 MD-83 | 4 | 2004 | 2010 | |
총계 | 46 | colspan="3" | |
4. 상용 고객 우대 프로그램
'''ConnectMiles'''는 코파 항공 콜롬비아의 상용 고객 우대 프로그램으로, 코파 항공과의 제휴를 통해 운영된다. 고객은 코파 항공 콜롬비아, 코파 항공 및 기타 스타 얼라이언스 회원 항공편 이용을 통해 마일리지를 적립한다. 프리미어 등급의 혜택으로는 우선 체크인, 우선 탑승, 무료 업그레이드, 할인된 공항 라운지 멤버십(유나이티드 클럽/코파 클럽) 등이 있다. 콘티넨탈 항공과 유나이티드 항공의 합병으로 인해 코파 항공 콜롬비아는 2011년 12월 31일에 OnePass 상용 고객 프로그램을 종료하고 2012년 3월 3일에 MileagePlus 프로그램을 채택했다.[5]
2015년 3월, 코파 항공은 ConnectMiles를 선호하여 MileagePlus 프로그램을 단계적으로 폐지할 것이라고 발표했다. 새로운 프로그램은 2015년 7월 1일에 완전히 시행되었다.[6][7]
5. 사건 및 사고
2002년 12월 4일, 보고타에서 이륙하던 맥도넬 더글러스 DC-9-31(등록번호 HK-4230X) 항공기가 조종사들의 과도한 기수 조작으로 꼬리 부분이 활주로에 부딪히는 사고가 발생했다. 바랑키야에 도착한 후 정비 요원들이 피해를 확인했고, 보고타로 돌아온 후 아에로시빌과 보잉은 해당 항공기를 전손 처리했다.[1]
2005년 1월 8일, 칼리 알폰소 보니야 아라곤 국제공항에서 맥도넬 더글러스 MD-83(등록번호 VP-BGI) 항공기가 활주로를 이탈하여 착륙 장치가 파손되었다. 승무원 6명과 승객 164명 중 사망자는 없었으며, 해당 항공기는 전손 처리되었다.[2]
2007년 7월 17일, 산타 마르타 시몬 볼리바르 국제공항에서 7330편으로 운항하던 엠브라에르 190LR(등록번호 HK-4455) 항공기가 활주로를 이탈하여 제방 아래로 굴러 떨어져 기수가 바다에 잠겼다. 사망자는 없었으며, 심각한 손상으로 인해 해당 항공기는 전손 처리되었다. 이는 엠브라에르 E-제트 계열 항공기 중 첫 번째 기체 손실 사고였다.[3]
2007년 11월 2일, 페레이라-보고타 노선을 운항하던 엠브라에르 190 항공기에서 연기가 발생하여 마테카냐 국제공항으로 회항했다. 이륙 후 10분도 채 되지 않아 발생한 이 사고로 승객 15명이 패닉 상태에 빠졌으나, 다행히 심각한 부상자는 없었다. 조종사들은 항공기 에어컨 시스템 고장으로 인해 사고가 발생했다고 밝혔다.[4]
참조
[1]
웹사이트
Aero Republica to launch Mexico and Cuba services
http://www.flightglo[...]
2010-08-16
[2]
웹사이트
Aero Republica becomes Copa Airlines Colombia
http://www.copaair.c[...]
2010-10-07
[3]
뉴스
Copa Launches New LLC to Stem Colombia Losses
https://www.flightgl[...]
2016-10-20
[4]
뉴스
Copa Airlines dice que podría no tener suficiente liquidez para sobrevivir crisis y volver a volar
https://www.reuters.[...]
2020-04-27
[5]
웹사이트
Member preview of 2012 MileagePlus program
http://onepassmerger[...]
2012-08-20
[6]
웹사이트
Introduction
http://www.copaair.c[...]
Copa Airlines
2015-01-30
[7]
웹사이트
Introduction
http://connectmiles.[...]
Copa Airlines
2015-03-18
[8]
간행물
Flight International
2005-07
[9]
ASN accident
Aero República Embraer ERJ 190-100IGW (ERJ-190AR) registration HK-4455
2016-11-17
[10]
뉴스
Directory: World Airlines
2007-04-03
[11]
웹인용
Aero República despidió su último avión MD
http://www.aerorepub[...]
www.AeroRepublica.com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